1/102 페이지 열람 중
반갑습니다^^ 이렇게 함께하게 되어서 감사하구요, 캠퍼스와 세상 속의 하나님 나라 운동을 위해 일상을 귀하게 변화시켜 나가는 이야기들을 함께 나누면 좋겠습니다. 일삶구원 이야기 게시판에서는 주로 일상에 관한 묵상이나 자유로운 형식의 글들이 게시되게 되구요, 일상생활 속 CASE 나눔터에서는 일상생활에서 접하게 되는 여러가지 사례들을 나누고, 함께 대답하고 다른 사람들이 그 사례를 보면서 도움을 얻도록 기획한 게시판입니다. 앞으로 많이 이용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ㅋ 경기남지방회 경희대 06학번 컴공과 이동엽 리더입니다...;; 전국수 때 부스를 한 번 방문했는데요... 종종 이용하게 될 것 같습니다. 일상의 영역들을 하나둘씩 주님께 맡겨드리고 싶습니다. 정확한 고찰을 바탕으로 말이죠 ㅋㅋ 아 그런데 일삶구원이야기 게시판과 일상생활 속 case 나눔터의 뚜렷한 차이를 잘 모르겠습니다..;;
일상구원이라는 말이 참 좋습니다. 잠시 다녀갑니다. 아직 발만 살짝 담그고 갑니다. 몸이 담기려면 시간이 좀 필요할 듯 싶습니다. 주안에서 항상 평안이 넘치시길 기도드립니다.
최근 저희 일상생활사역연구소의 서버에 부하가 많이 걸려서 보강 작업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최근 접속이 간헐적으로 접속이 불안했었네요. 죄송합니다. 보다 더 사용하기 좋고, 안정적인 프로그램으로 일삶구원식구들과 나눌 수 있기를 소망드립니다. 함께 기도해주시고 응원해주시면 너무도 귀한 동역과 기쁨이 될 것 같습니다. 시국은 어려울지라도 샬롬을 전하며...
제학문 연구자 및 대학원생 자유토론그룹과 함께하는 '일상' 세미나가 이광욱 연구원 주도로 준비되고 있습니다. 저는 '율법과 현대 사법체계' 내지 '기독교 세계관과 평등권'에 관한 주제를 정리하거나 관련 책을 정리해 볼까 합니다. 성경적 세계관과 정의론 정리도 의미 있을 것 같은데요. 역량이 허락할지는 모르겠습니다.. 아무튼 세미나를 위해 기도 부탁드립니다.
"일삶구원 이야기" "일상생활속 case 나눔터" "위원들 네트웍"은 블로그에서 많이 사용하는 "태그"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ELBiS Club 시편 14편 요약 20201218 지혜자의 관찰과 같은 표현이 많은 시편이어서 지혜시(orientation)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행악자”에 대한 묘사와 구원에 대한 간구를 고려하면 disorientation 시편으로 볼 수도 있을 것이고 “하나님은 의인의 편이시”라는 고백을 보면 reorientation 시편으로도 볼 수 있는 한마디로 종합적인 시편인 셈입니다. 하나님에 대한 언급 외에 13번이나 “사람”에 대한 관찰이 반복 비교 대조되는 것이 오늘 시편에서 눈에 …
ELBiS Club 시편 13편 요약 20201211 항변과 탄식의 disorientation 시편의 성격이 2/3 (1-4절)이고 신뢰와 찬송의 reorientation 시편의 성격이 1/3 (5-6절) 인 시편 13편은 처음부터 이 둘 사이의 관계가 어떻게 이해되어야 하는가 하는 질문을 낳습니다. 어떻게 고통과 두려움 가운데 항변하고 탄식하던 데서 갑자기 “그러나”로 시작하여 의지와 찬양으로 바뀔 수 있는가 하는 질문입니다. 시인은 “언제까지..?”를 5번(?은 6번)이나 1절과 2절에서…
ELBiS Club 시편 12편 요약 20201204 “지휘자를 따라 팔현금에 맞추어 부르는 다윗의 노래”라는 표제는 이미 시편6편에서 경험한 표제입니다. 팔현금은 스미닛이라는 저음 악기 연주로 매우 어두운 분위기를 드러내는 데 이는 12편 전체에 흐르는 기조를 말해 주는 것입니다. 시인이 노래하는 탄원의 현실을 1절과 8절이 봉투구조(inclusio)안에서 대조로 보여줍니다. “신실한 사람도 끊어지고, 진실한 사람도 사람사는 세상에서 사라지고 있습니다....주위에는 악인들이 우글거…
온라인 ELBiS Club 시편 11편 요약 20201127상황의 엄혹함과 주변의 현실주의적 충고에 상관없이 견고하고 확신에 찬 신뢰시 reorientation 시편입니다. 1절에서 3절까지 첫 연에서 시인(나)과 현실주의자들(너희)의 대화속에서 악이 이기는 것 같은 상황의 엄혹함이 드러납니다. 그러나 시인은 4절부터 7절에서 주님(야웨)에 대한 확고한 신뢰를 드러내는 것으로 이 대화에 응합니다. 짧은 시이지만 고려해야 할 이해당사자들이 다섯(나,너희,주님,악인,의인)이고, 시에 반복되는 중요 단어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