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8 페이지 열람 중
일상생활사역연구소는 2009년부터 매년 종교개혁기념주일을 전후로#일상생활사역주간을 실시하고 있습니다.일상생활의 영성과 신학의 회복이 오늘날 한국교회와 신도들에게 필요한 종교개혁의 과제라는 메시지를 나누는 캠페인에 공유와 응원으로 동참해주세요.* 일상생활사역주간의 발자취https://goo.gl/gu5qAA* 사역주간 홍보영상<두 왕국>https://goo.gl/SDLz3c<한백성(1)>https://goo.gl/GBXjfs<한백성(2)>https://goo.gl/LA97wm* 모임과 예배에 함께할 수…
좋은 기도문이다. ^^ 예수님의 마음을 헤아리는 기도.
기도하는 손이 그려진 액자와 평화의 기도문.. ^^*
엘비스클럽 시편 17편 나눔요약 240412 기도-고발과 탄원을 통한 정화 “다윗의 시편” 혹은 “다윗의 노래”와 같은 표제를 지닌 시편들이 종종 기도문의 형식을 띄지만 정확하게 “다윗의 기도”라는 표제를 가진 시편은 이 시편과 86편 두 편 뿐입니다. 그 차이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지만 “기도”가 무엇인지를 다윗을 통해 보고 배우게 됩니다. 이 시의 배경이 다윗의 어려운 시절(cf.사울의 위협을 피해 도망다니는 시절, 혹은 압살롬…
온라인 ELBiS Club 골로새서 1장 9절-14절 요약 210423 복음이 낳은 관계는 소통을 낳을 뿐 아니라 위하여 기도하게 합니다. “For this reason, 그러므로”로 앞 문맥과 연결되는 오늘 본문은 “우리가 여러분의 소식을 들은 그 날부터, 우리도 여러분을 위하여 쉬지 않고 기도합니다.”라는 언급으로 시작합니다. “여러분의 소식”이 바로 앞에 있는 에바브라에게서 들은 소식일 수도 있지만 더 근원적으로 처음 골로새 교인들의 믿음과 사랑을 전해 들었을 때 부터라고 생각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미 3…
6. 이 세상이 기다리고 있는 것 들어가는 말 초기 그리스도인들은 ‘진보’를 믿지 않았다. 그들은 이 세상이 스스로의 힘으로, 심지어 하나님의 꾸준한 영향으로 인해 갈수록 나아지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대신 그들은 이 세상을 바로잡기 위해 하나님이 무언가 새로운 일을 하셔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161) 그들은 이원론자들이 아니었다. 그들은 하나님이 부활절에 예수님에게 하신 일을 이 우주 전체를 위해서 하실 것이라고 믿었다. 그들은 이 세상 전체가 그 미래를 간절히 기다리고 있다고 주장했다.(162) 희망…
[일상생활사역연구소 ETT 2기] 톰 라이트와 함께하는 기독교 여행 ◯ 일시 / 장소 : 2008년 6월 11일 수요일 오전 10시-12시 / 부산대 운죽정 ▲ 토론내용 제3부 그분의 형상대로 11장 예배 예배의 본질에 대하여 생각하고 인식을 가지는 가운데 예배드리는 것이 중요하다. 예배의 본질에 대한 의식이 없을 때 기술적인 측면으로 접근하기 쉽다. 기술적인 접근 내지는 우리의 '성공'에 대하여 집중할 때 예배는 왜곡되기 쉬운 것이다. 우리의 예배의 문제점은 '나' 중심의 예배, 수요자 중심의 예배가 되고 있는 점이…
CBS 방송준비(100719월) 주제: 일곱가지 죄악 中 탐욕 정리: 홍정환 참고: 신원하, “탐욕(貪慾; Avarice)” (기독교사상 2010년 2월호) “탐욕, 텅 빈 우물” (그말씀 2004년 2월호) 탐욕이란 탐욕(avarice)의 라틴어 어원 ‘아바라티아(avaratia)’는 재물을 더 소유하고자 하는 욕심이라는 뜻이다. 즉 탐욕이란 돈, 재물, 명예를 더 소유하려는 욕심이다. 단테는 “자신이 필요한 것보다 더 소유하려는 욕구”를 탐욕이라고 했다. 간단히 말하자면 “조금 더”이다. …
* 금회 방송파일은 방송국 사정상 제공해 드리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양해바랍니다. 부산 CBS 방송 - 월요일을 기다리는 사람들2010년 7월 5일 방송분 준비 주제 : 7가지 죄악 "교만" * 자료 발췌 및 참고 자료신원하 (고려신학대학원 기독교 윤리학 교수) 그말씀 2003. 11월호과 기독교 사상 죽음에 이르는 일곱 가지 죄 ▲ 모든 죄의 어머니 "교만" 7가지 죄악이라는 전통은 초기 기독교 시대에 그리스의 수도자 에바그리오 도 폰토에 의해 처음 체계화되었습니다. 16세기에 이르러 그레고…
분노의 영성 1 분노하는 현대인 1.1 “화날 때 마음껏 화내십시오. 빨리 죽습니다. 화나도 꾹꾹 참으십시오. 가슴이 터져 죽습니다.” (레드포드 월리엄스 등저, 「분노가 죽인다」) 1.2 현대인은 누구나 분노를 품고 살아간다. 1.3 분노는 기쁨, 슬픔, 즐거움, 두려움 등과 같은 일상적 감정들 중 현대인의 마음 속에 가장 빈번히 출몰한다. 1.4 그 원엔에는 타인과의 부딪힘이나 욕구에 대한 불만족, 과다한 경쟁, 스트레스 등을 꼽을 수 있다. 2 인간은 왜 분노하는가? 2.1 성경은 하나님도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