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9 페이지 열람 중
'일상'은 우리의 삶 자체입니다. 주님이 주신 선물이지요. 비록 어렵고 힘든 일이 많고 여러 유혹도 많지만 온 세상의 주인이신 주님께서 우리의 일상을 그분께 맡길 때 일상을 누릴 수 있는 힘과 지혜와 평안도 주실 거예요. 매일 매순간을 주님께 드리는 삶이 되시길, 주님의 지혜를 매순간 구하시길, 그리고 함께하는 공동체와 이런 기도들을 나누시길^^ 연구소의 가족들이 응원합니다.
처음 『일상생활사역연구소』를 알게 됐을 때, "아, 저런 곳도 있구나. 근데 뭐하는 곳이지?" 라는 생각뿐 이였습니다. 그런데 ivf 여름수련회를 끝내고, 또 주말 교회에서의 생활도 다 끝내고 나니 지금부터 시작되는 저의 일상생활이 걱정됩니다. 두렵고, 초조하고, 불안합니다. 매 순간순간이 선택의 길 앞에 서있는 것 같습니다. 무엇이 옳고 그른지 알면서도 저의 일상은 순식간에 확 무너져버리기가 쉬운 것 같습니다. 절망적 입니다. 세상속에서 그리고 일상생활속에서 산다는 것이..ToT
아침 큐티하다..목사님이 생각이 났어용.. 싸이갔더니..잘 안들어오시는것 같아,,여긴 처음 들어오네요. 겸사겸사 회원가입까지 했어요.. 싸이 비밀글에 근황을 남기려고 했는데 ;; 어쨌든 목사님 전 잘 지내고 있어요~! 예전과는 또다른 문제와 어려움도 분명히 삶에 있지만.. 유익이 되고 있다는 고백을 안할수 없습니다. 아침이 점점 기대되니까요^^ 시간이 지나도 예전 공동체,, 목사님,, 지체들,, 추억들은 가끔씩 생각나고 웃음짓게 하는것 같아요. 그래서 이렇게 문득 생각날때는 찾아들어오게 되네요!! 목사님 가정, 사모님, 광일이, 영…
"가장 위대한 일뿐만 아니라 가장 작고 평범한 일에서도 하나님을 발견하는 것이 바로 귀중하고도 숭고한 믿음을 소유하는 것이다. 현재의 순간에 만족한다는 것은, 현재의 순간에 해야만 하는 모든 일을 하면서 받아야 할 모든 고통을 받아가면서, 그 속에서 신령한 뜻을 맛보며 그 뜻을 사모한다는 의미이다." - 장 피에르 드 코소드
"이웃은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가장 불편한 순간에도 용납해야 하는 존재다" - 현대인을 위한 생활영성 서론 중에서. 이웃을 사랑하고 참 이웃이 되어주는 일상이길 소망합니다.
수업을 마치고 연구실에 돌아왔습니다. 오늘도 삼위 하나님께서 그분과의 교제 가운데 창조적인 시간들, 창조적인 순간들을 선물로 주셔서 감사합니다.
온라인 ELBiS Club 시편 4편 요약 20201023시편4편은 1절의 짧은 탄원기도를 볼때는 disorientation 시편이라고 할 수 있겠으나 전반적으로 인생의 경험에서 나오는 지혜(3-5절)와 여전한 곤궁 속에 있으나 확신과 평안으로 시를 마무리(6-8절)한다는 점에서 orientation과 reorientation 이 모두 존재하는 시편입니다.이 시편의 화자(표제에는 다윗의 노래라고 되어 있음)는 한편으로는 하나님께 탄원하고 고백(A-1절, A’-6절하반절-8절)하면서 다른 한편으로 다수…
ELBiS Club 고린도후서 1장 1절 11절 요약 180912 교리적 윤리적으로 문제가 많은 고린도 교회이지만 이미 고린도 전서 편지에서 “고린도에 있는 하나님의 교회”라 “성도”라 칭하였던 사도의 팀은 아마도 그 편지 때문에 마음이 상해 바울의 사도적인 권위 자체를 공격하는 이들을 여전히 “하나님의 교회”라고 “성도”라고 칭하고 있습니다. (1-2절) 이런 기본적인 태도가 이어지는 “위로”(10회)와 “고난”혹은 “환난”(9회)에 대한 찬송시(3-5절)와 바울의 개인적…
ELBiS Club 야고보서 1장 19절 27절 요약 180321 야고보서는 본문 안에서 편지를 받는 독자들의 상황을 추론해야 하는 부담을 가져다 주긴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상황을 아주 모를 일은 아닌 것 같습니다. 앞 문맥에서 디아스포라 상황에서 시험당하는 형제들을 권면하던 저자는 “부한 자와 낮은 자”의 문제를 언급하는 데 본문의 바로 뒤 문맥인 2장도 공동체 안에서 부한 자와 가난한 자의 차별의 문제를 다루고 있는 점으로 보아 이것이 편지를 받는 공동체의 문제 중 대표적…
4. 그대 내 품에(2,1-7)_ 170327월사랑하는 임을 찾아 헤매던 여인은 약한 모습을 보입니다. 파라오의 병거를 끌던 말과 같다던 임의 상찬을 뒤로 하고, 자신을 “고작 사론에 핀 수선화, 산골짜기에 핀 나리꽃”이라고 말합니다. 군락을 이룬 많은 꽃 가운데 한 송이에 지나지 않는다고 낮추어 말하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다른 한편 백합과에 속하는 수선화와 나리꽃에 자신을 비유하여, 그 강렬한 향기와 아름다움을 연상시키게 합니다. “나는 평범해요, 하지만 특별해요”라는 모순된 메시지를 전하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여인은 임을 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