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3 페이지 열람 중
ELBiS Club 출애굽기 33장 1절 23절 141127 32장에서 죄에 대해 단호함으로 반응하시던 하나님은 33장에서 모세와의 대화를 통해 점점 단호함에서 물러서시는 듯 합니다. 일견 이것은 모세의 대단한 노력 혹은 지혜로 이루어 진 일인 듯 보이지만 사실은 언약을 새롭게 하시고 한 단계 더 하나님의 백성이 성숙하도록 하시는 통 넓으신 하나님의 배려라는 느낌을 강하게 받게 됩니다. 1절에서 6절까지 하나님은 모세에게 원래 약속대로 가나안땅으로 올라가라고 하시면서도…
홍은경 목사 7.영성 비록 성령이 인도해주시는대로 사는 삶이 모호해보일지라도, 믿음을 붙잡아야 합니다. 이 믿음은 사람들과의 관계 가운데 사랑으로 드러나야 합니다. 이 믿음의 여정은 마치 장거리 달리기와 같습니다. 믿음안에서 삼위 하나님과 관계를 맺으며 성장하는 삶은 특정한 공식을 대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열매를 위해 시간을 들이는 일과 같습니다. 시간이 걸리고, 믿음과 소망과 사랑이 필요합니다. 바울은 이를 “성령의 열매”라고 표현합니다. p.150 8.교회 교회 공동체는 세례와 성찬, …
15장. 신학 교육과 교과 과정을 위한 선교적 성경 읽기 - 마이클 고힌 신학교육과 선교의 위기 오늘날 다양한 영역에서 나타나는 신학 교육의 주요 문제들 1) 목회 사역을 위한 준비 신학교에서 배우는 과목들이 매우 이론적이고 현장과 동떨어진 신학적 고찰에 치중되어 있어, 학생들이 목회적 소명을 위해 적절히 준비되지 못하게 한다. 2) 영성과 도덕성 형성 신학교는 주로 지적 훈련과 정보 습득에 중점을 두고 있어, 학생들의 영적 성장과 도덕성 함양을 돕고 살피고 가늠하는 역할은 하지 못한다. 3) 지역 회중과의 연결성 신…
9장 선교적으로 신약성경 읽기(N. T. 라이트) * Goheen, M. W. (ed.)(2016), 선교적 성경 해석학, 백지윤 역(2023), 서울: IVP, pp. 255-83. 신약성경의 목적은 초기 교회의 선교적 삶을 지탱하고 안내하기 위해 쓰여졌다. 초기 교회는 유대교 유일신 신앙에서 말하는 오직 유일하신 하나님의 사랑과 권능, 새로운 창조의 에너지가 세상에 마음껏 흘러가게 하는 백성이 되는 것을 의식했다. 그리고 신약성경의 저자들은 초기 교회가 그런 백성이 되기를 원했다. 신약성경의 글들은 초기 교회를 안내하고 지…
지성근 9장 선교적으로 신약성경 읽기 N.T.라이트 신약성경은 초기 교회의 선교적 삶을 지탱하고 안내하기 위해 쓰였다. 256 신약성경이 세상을 위한 그리고 세상을 향한 하나님의 선교에 관한 것이며, 그 초점은 물론 예수님이시라 258 성전과 교회의 선교라는 주제 사도행전-하나님이 성령을 통해 예수님 안에 심어 놓으신 선교적 신학, 곧 예수님과 그의 백성인 새 성전을 개괄하고 있다. 그들은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온 세상으로 나아갈 것이다. 요한복음-기독론적 성전신학, 성전에 의해 형성된, 성령을 받아 세상으로 나가는 선…
4장. 신학적 해석과 선교적 해석학 – 크레이그 바르톨로뮤 오늘날 성경 해석이라는 하늘 위의 두 별은 신학적 해석과 선교적 해석학이다. (p.109) 신학적 · 선교적 해석학은 사실 성경을 읽는 아주 오래된 방식이지만 양쪽 모두 최근 들어서야 부흥을 경험하고 있다. (중략) 이번 장에서 내가 바라는 것은 그 둘의 차이를 정의하고, 우리가 그 둘 모두를 필요로 하는 방식을 제안하는 것이다. (p.112) 데이비드 보쉬와 성경 해석에서 선교의 중심성 보쉬는 선교의 포괄적 차원을 회복하는 것에 대해 당연히 공…
박태선 서론 11 선교적이라는 단어는 하나님의 백성이 그분의 구속적 선교에 참여하는 것을 성경의 중심 주제로 보는 성경 해석 방식에 대해, 세상을 위해 존재하는 교회의 진정한 본질에 대해, 교회를 그 사명에 합당하게 준비시키기 위해 필요한 신학에 대해 다시금 일깨우는 표지이자 임시 골조로서 유용한 면이 있다. 1장 선교적 성경 읽기의 역사와 개관 35 이러한 정의에는 선교적 해석학의 세 차원이 존재한다. 선교를 중심주제로 삼아 성경 전체를 읽는 것, 선교가 정말로 무엇인지 이해하기 위해 성경을 읽는 것, 선교적 임무를 수행하도록…
2020년 4월 29일참가자: 지성근, 박주현, 정한신, 박태선, 이하정, 부순애, 조민주, 홍정환, 배성우범위: pp. 83~1952장 지배적 일 이해일 이론의 고찰 필요성과 계획(시장 경제와 계획 경제의 대표 주자로 스미스와 마르크스를 선택하고 분석)“일의 신학의 주요한 특징을 놓치지 않으려면, 개인적이고 공동체적인 삶에서의 일의 성격과 역할뿐 아니라(1장), 사람들이 자신의 일을 이해하는 방식 역시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일의 신학이 고찰할 필요가 있는 일의 실재 중에서 그 핵심은 일 이론이다. 일의 신학이 경제가 발전한 사회…
3부 공동체 안에서 성숙하고 개인적으로 전수하라 5장 사랑 안에서 진리를 따르는 삶 신앙은 우리에게 일상에서 예수그리스도의 복음에 최대한 충실하게 살아가는데 전념하라고 요청한다. 그리스도를 닮아가는 변화는 감지할 수 없을 만큼 조금씩 일어난다. 신앙과 인격의 진정한 통합을 위해서는 이해와 회심과 변화가 적절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감옥 생활이나 망명생활의 의무 회심자들은 모두 타고난 본성과 다른 삶을 살아야 할 의무가 있다. 그런 변화가 일반적인 변화보다 훨씬 더 느리게 나타나는 사람이 있는데, 이것은 교만 때문이거…
추수의 사명과 추수의 열매인 믿음 예수님께서는 유대에서 한창 사역을 진행하시다가 다시 갈릴리고 가시려고 하셨습니다. 그런데 예수님은 굳이 사마리아 지역을 통과하여 가야 하시겠다며 길을 잡으셨습니다. 그 당시 사마리아는 이방인들에 의해 민족적, 신앙적으로 오염된 순수하지 못한 지역으로 여겨져서 유대인들에 의해 공공연하게 배척을 당하고 있었고 유대인은 사마리아인과 상종하지 않는 것이 관례였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수님은 사마리아를 향하여 의도적으로 나아가셨고 그곳에서 사마리아 여자 한 사람을 만나서 남편을 여섯이나 두면서도 만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