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장. 신학 교육과 교과 과정을 위한 선교적 성경 읽기 - 마이클 고힌 > ETT 3191 자료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15장. 신학 교육과 교과 과정을 위한 선교적 성경 읽기 - 마이클 고힌 > ETT 3191 자료실

선교적성경해석학 15장. 신학 교육과 교과 과정을 위한 선교적 성경 읽기 - 마이클 고힌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 건 조회 570 회
작성일 24-07-03 04:45

본문

15장. 신학 교육과 교과 과정을 위한 선교적 성경 읽기 - 마이클 고힌

신학교육과 선교의 위기
오늘날 다양한 영역에서 나타나는 신학 교육의 주요 문제들

  1) 목회 사역을 위한 준비
  신학교에서 배우는 과목들이 매우 이론적이고 현장과 동떨어진 신학적 고찰에 치중되어 있어, 학생들이 목회적 소명을 위해 적절히 준비되지 못하게 한다.
  2) 영성과 도덕성 형성
  신학교는 주로 지적 훈련과 정보 습득에 중점을 두고 있어, 학생들의 영적 성장과 도덕성 함양을 돕고 살피고 가늠하는 역할은 하지 못한다.
  3) 지역 회중과의 연결성
  신학교는 그들이 섬기는 지역 회중과 연결되어 있지 않은 학문기관이다.
  4) 교수진의 자격 요건
  교수진은 학문적 성과를 기준으로 선발되며, 이로 인해 목회 경험이 거의 없거나 아예 없는 교수들이 많다.
  5) 목회의 전문화
  학문적 전문성을 중심으로 한 목회 모델은 실제 목회 경험보다는 학문적 자격 요건을 중시하여 경험 없는 젊은이들을 회중의 지도자로 삼게 한다.
  6) 기숙 생활의 요구
  학생들은 수년 동안 교회와 떨어져 학문 기관에서 거주하도록 요구된다.
  7) 비용
  많은 학생들이 학위 취득을 위해 엄청난 빚을 지고 졸업 후에는 낮은 연봉으로 목회 사역을 시작하게 된다.
  8) 교육법
  강의와 정보 전달이 주요 교육 방식이며, 기말시험이나 연구 보고서가 주된 평가 방식이며, 학생들이 실제로 과목에서 배운 정보를 숙달했는지 평가하기 어렵다.
  9) 교과 과정
  교과 과정에 대한 다양한 문제들이 제기되고 있으며, 뒤에서 다룰 것이다.

문화적 전환과 신학 교육
  1) 계몽주의 세계관에 맞서는 문화적 전환
  서구에서 수 세기 동안 공적 영역과 문화를 형성해 온 계몽주의 세계관에 대한 의심과 비판이 증가하고 있으며, 포스트모던 풍조는 계몽주의의전제와 더불어 신학 교육의 전제를 향해 문제를 제기한다.
  2) 새로운 이교적 분위기
  서구 사회에서 새로운 이교적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으며, 이는 목회자들이 기존의 ‘관리자 모드’로는 충분하지 않은 선교적 환경 가운데 있음을 느끼게 한다.
  3) 선교 지도자들과 남반구 교회가 제기하는 비판
  최소 40-50년 동안, 제3세계 그리스도인들은 지난 150년간 서구의 신학을 지배했던 가정들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으며, 서구 바깥으로 나갔던 선교사들의 교차 문화적 경험과 급성장하는 비서구 교회를 위해 지도자들을 훈련시키고자 하는 분투는 새로운 신학 교육 모델을 탐색하게 했다. 
  4) 성경 이야기에서 선교의 중심성 회복
20세기 중반의 선교 지도자들은 성경 이야기에서 선교의 중심성을 회복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많은 이들이 선교라는 중심 주제가 성경 읽기, 신학의 성격과 임무, 신학 교육 시행에 어떻게 영향을 끼치는지 분명하게 진술하기 위한 초기 노력에 참여했다.

1952년 독일 빌링겐에서 열린 국제 선교 협의회는 선교에 대한 새로운 신학적 틀을 제안하였으며, 이는 신학 교육에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 회의는 선교의 본질을 이해하는 새로운 신학적 비전을 제시하였고, 교회의 선교적 본질을 강조하였습니다. 선언문은 "우리가 참여하고 있는 선교 운동의 근원은 삼위일체 하나님 자신 안에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선교의 중심이 하나님의 선교임을 분명히 했습니다.

‘미시오 데이’와 교회의 선교적 본질
  1) 빌링겐 국제 선교 협의회(1952년)
   (1) 선교를 위한 새로운 신학적 틀 제안.
   (2) 비서구권 교회의 성장, 선교 운동의 비판, 서구의 '기독교적' 성격 상실, 식민주의의 종말 등 당시의 변화를 반영함.
   (3) "교회의 선교적 소명" 선언문은 선교의 근원이 삼위일체 하나님 자신에게 있음을 강조.
   (4)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가 먼저, 이에 참여하는 것이 교회의 선교적 본질.
   (5) 선교의 개념이 지리적 한계나 특정 활동에서 벗어나 교회의 본질적 정체성으로 확장.
   (6) 이러한 변화는 에큐메니컬 운동에서 성경신학이 주도권을 가짐과 동시에 일어남.
   (7) 성경신학 운동의 주요 요소(브레바드 차일즈)
     ① 신학적(성경의 주인공, 역사 안에서 활동하시는 하나님)
     ② 내러티브 통일성(성경은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구속 사역 펼쳐지는 이야기)    
     ③ 역사(하나님의 구속 사역은 역사 속에서 행하시는 강력한 행동으로 드러남)
   (8) 빌링겐 선언문의 중요성 
     ① 선교에 대한 급진적이고 새로운 이해
     ② 성경 이야기의 중심으로 향하는 길: 만물을 화해하기 위한 하나님의 선교와 그에 참여하는 하나님의 백성
     ③ 교회의 정체성과 사명에 대한 근본적인 재해석을 제시.

성경적 해석학, 신학. 신학 교육을 위한 함의들
빌링겐 대회는 선교적 해석학, 선교적 신학, 그리고 선교적 신학 교육이라는 세 가지 중요한 함의를 남겼다. 
  1) 선교적 해석학
    하나님의 선교와 그 선교에 교회가 참여하는 것을 중심으로 삼는 해석 방법. 
    성경의 전체 이야기를 선교적 관점에서 읽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함.
  2) 선교적 신학
    선교가 성경 이야기의 지배적 모티브라면, 교회의 중심 정체성이 선교적이라면, 교회를 그 사명을 위해 어떻게 준비시킬 것인가. 하나님의 선교와 그 선교에 교회가 어떻게 참여하는 것을 진지하게 받아들이는 것이 신학에 가져오는 결과.
  3) 선교적 신학 교육
    교회가 근본적으로 선교적 본질을 가지고 있다는 전제하에 신학 교육이 교회의 선교적 사명을 반영해야 한다는 것.

선교와 신학
  1) 선교 운동의 초기 개척자들은 타문화 선교의 실제적 문제에 주로 관심을 가졌고, 서구 선교 운동의 자신감 속에서 선교에 대한 신학적 고찰이 크게 필요하지 않았다. 그러나 20세기 중반 선교의 위기는 선교의 성격, 목표, 타당성에 대한 새로운 질문들을 제기했으며 이는 선교신학의 성장을 가져왔다.
  2) ‘선교적’은 성경에 충실한 모든 신학적 고찰의 기본적 구성 요소를 규정한다. 이는 단순한 해방신학이나 여성주의 신학과 같은 신학적 지류가 아닌, 모든 신학의 중심을 선교적 관점에서 재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선교를 위한 교회의 형성은 모든 다양하고 고유한 신학 연구의 형태를 결정하고 그것에 힘을 공급하는 추동력이 되어야 한다.” - 대럴 구더
  3) 제3세계 교회의 선교적 신학은 서구 신학에 도전을 제기하며, 선교의 불길 안에서 태어난 신학으로서 서구 신학의 갱신을 위한 추동력이 될 수 있다(데이빗 보쉬).
  4) 선교적 신학
    선교적 신학이란 교회가 ‘미시오 데이’에 참여함에 있어서 그 선교적 사명의 여러 함의를 탐구하는 신학적 과업.
    (1) 교회의 선교적 본질이 갖는 함의
      ① 어떻게 회중의 삶에, 교회의 돌봄 사역과 증언을 위한 사명에, 이를 가능하게 하는 구조에 영향을 끼치는가?
      ② 성경이야기에서 선교라는 주요 모티브는 신학의 다양한 분과의 내용 면에서, 이론적 신학과 실천신학 간의 교과 과정 구분이라는 측면에서, 신학의 목적과 목표, 통일성, 방법론 면에서 신학 분야를 어떻게 형성하는가?
    (2) 선교적 신학은 ‘모든 시간과 장소에서 유효한, 구원 신학/ 무시간적 신학’의 개념을 거부하고, 특정한 역사적 · 문화적 맥락에서 발생하는 모든 신학에 주의를 기울임.
   하나님 백성의 선교는 고도로 상황적이며, 특정한 지역과 시대에 속한 교회는 성경 이야기와 문화 이야기의 교차로에서 신실하게 살아 내는 방법을 찾아가야 한다.
   5)  상황화된 고찰이라는 신학적 본질이 요구하는 두 가지
      ① 다른 문화, 시대, 신앙 전통에 속한 그리스도인들과 나누는 삼중의 대화가 필요
      ② 신학의 선교적 사명을 다시 일깨우는 비평적 목소리 제공
   6) 신학의 목표와 목적은 교회를 그 선교적 소명을 위해 형성하는 것.

선교. 신학 교육, 교과 과정
선교와 신학의 선교적 본질에 대한 새로운 이해는 신학 교육의 목적, 교수법, 구조, 학계와 교회의 관계, 교수진의 자격 요건, 그 밖의 많은 것에 영향을 미침.

신학 교과 과정을 위한 이론적 모델: 미셔널 트레이닝 센터(애리조나 피닉스), 전통적 교과 과정에 대한 비판과 선교 지도자가 나아갈 길을 위한 제안을 반영(하비 콘, 레슬리 뉴비긴, 데이비드 보쉬).

  1) 선교의 포괄적 비전
    (1) 선교의 재정의: 선교는 단순히 믿지 않는 사람들을 신앙으로 이끄는 의도적 활동에 국한되지 않고, 교회는 공적이고 사적인 삶 전체를 통해 복음을 체현하는 선교의 비전으로 부름 받음.
    (2) 교회의 선교적 정체성: 교회는 우상숭배적인 문화와 대조를 이루며, 복음을 중심으로 공적 영역에서 다양한 사명을 수행해야 함. 전도와 교회 개척은 이 과정의 일부일 뿐, 선교의 핵심은 세상을 위해 복음에 의해 형성되는 것임.
    (3) 신학 교육의 역할: 신학 교육은 목회자가 제도적 교회 내에서만 일하도록 훈련하는 것이 아니라, 평신도들이 세속적 상황에서 그리스도의 사역자가 되도록 준비시키는 데 중점을 둠.
  2) 하나로 묶어 주고 방향을 결정하는 핵심
    선교적 교육 과정의 첫 번째 임무: 다양한 학문 분과에 통일성을 부여하는 중심을 규정하는 것(p.443, 도표1)
    (1) 복음: 신학 연구의 출발점은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드러난 복음으로, 이는 성경 이야기에 통일성을 부여하는 해석적 중심.
    (2) 성경 이야기: 복음은 하나의 거대한 내러티브 안에 위치하며, 이 내러티브는 창조와 새 창조 사이에서 하나님의 선교를 중심 주제로 함. 
    (3) 선교: 성경 이야기의 중심 주제는 하나님의 선교로, 신학 교육을 형성하는 이야기가 되어야 함. 하나님의 백성이 세상을 위한 하나님의 목적을 체현하고 알리도록 부름 받음.
    (4) 문화와의 선교적 만남: 하나님의 목적을 체현하는 일은 언제나 특정한 문화적 맥락 안에서 일어날 것. 

모든 분과의 선교적 내용과 목적 
다양한 신학 분과의 위치, 역할, 내용은 이러한 중심으로부터 파생될 것.
선교적 교과 과정은 그 안에 있는 다양한 과목의 내용과 목적이 선교가 교회를 규정한다고 보는 핵심에 의해 형성될 것.

- 선교적 교과 과정의 목적: 단순히 선교 관련 과목을 추가하는 것이 아니라, 설교를 위해 교회를 준비시키려는 목적에 따라 신학의 모든 분과를 재구성하는 것에 초점을 맞춤.
- 선교적 차원과 의도: 기독교 공동체의 삶에서 모든 부분은 개인적으로든 집단적으로든 새롭게 하는 복음의 능력을 증언. 모든 신학 과목은 선교적 차원을 가져야 하며, 선교가 기독교 신앙의 중심 요소로 간주될 때, 새로운 질문을 제기하고 다른 접근법을 고안함.
- 신학의 목표와 내용 간의 구별: 신학은 선교적 소명을 위해 교회를 준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하며, 그 내용 역시 선교라는 중심 주제에 의해 형성되어야 함.

  1) 성서학
    성경을 바르게 해석하기 위해 그 성격과 목적을 반드시 이해해야 함.
    (1) 성경은 하나님의 선교를 기록한 문서로, 구원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통일성 있는 내러티브이며, 그 중심은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발견됨. 
    (2) 성경의 목적은 우리를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으로 이끌어 구원에 이르는 지혜를 얻게하며, 우리가 이 이야기 안에서 자리를 찾고 신실하게 살아가도록 준비시키는 것.
    (3) 신학적 해석학은 본문의 신학적 혹은 선포적 메시지에 관심을 둠. 이를 위해서 정경적 위치와 문학적 맥락과 역사적 배경 등을 고려해야 함.
  2) 조직 신학
    (1) 성경의 다양성 가운데서 하나님, 인간, 구원, 창조 등에 대해 통일성을 전제로 한 주제 중심의 학문 분과.
    (2) 조직신학은 교회의 선교적 소명을 준비시키는 역할을 해야 하며, 문화적 우상숭배에 의해 성경의 가르침이 어떻게 왜곡되는지를 인식할 때 팰요성이 대두된다.
    (3) 조직신학은 교회를 선교적 사명에 신실하게 준비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선교라는 중심 주제에 의해 그 내용을 형성해야 함.

조직신학은 교회를 선교적 사명에 맞게 준비시키고, 문화적 도전 속에서 신앙의 진리를 새롭게 조명하며, 성경의 중심 주제인 선교에 따라 그 내용을 형성해야 한다.
  3) 교회사
    (1) 교회사의 새로운 접근
       ① 전통적 접근: 전통적인 교회사 연구는 제도적 교회와 교리적 갈등에 집중함.
       ② 선교적 접근: 복음이 다양한 문화와 어떻게 만나면서 이룬 선교적 진보에 초점을 맞추어야 함.
    (2) 역사적 맥락과 문화적 만남
       ① 상황화 문제: 복음이 그리스 문화로 번역되면서 문화적 맥락에서 벌어진 상황화의 문제였음.
       ② 종교개혁: 중세 후기의 새로운 인문주의 정신이 서구 문화를 장악하면서 개인의 구원을 강조하는 성경 주제들이 재발견됨.
       ③ 문화적 이해: 복음이 다양한 문화적 맥락에서 어떻게 표현되고 변화해왔는지 이해해야 함.
       ④ 창조와 우상숭배: 복음과 문화의 만남에서 창조적 통찰과 우상숭배적 왜곡을 드러내야 함.

교회사는 단순히 제도적 교회의 역사나 교리적 갈등을 다루는 것을 넘어, 복음이 다양한 문화와 어떻게 만났고 변화해왔는지를 중점적으로 다루어야 하며, 이를 통해 교회의 선교적 사명을 이해하고 준비시키는 역할을 한다.

  4) 회중신학
    회중신학은 신학 교육이 지역 회중 안의 목회자의 소명을 되돌아보고, 그 회중이 신실한 선교적 교회가 되도록 목회자가 그들을 어떻게 이끌 것인지 묻는 영역이 될 것. (p.462)

   교회는 다양한 사역이 이루어지는 기관이며, 그 모든 사역의 목적은 그리스도와 복음으로 그 구성원들을 섬기는 것. (p.462)

회중신학은 교회가 세상 속에서 복음을 실천하고, 다양한 공적 영역에서 그리스도의 사역자로 살아가도록 준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를 위해 신학 교육의 방향과 교과 과정을 통합적으로 재구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론-실천 이분법에 도전하기
전통적 신학 교육의 핵심에는 이론과 실천의 이분법이 존재한다.(P.464)

신학적 고찰은 맥락으로부터 이론적 거리를 두고 뒤로 물러나 하나님의 말씀이라는 최상의 범주에 비추어 그러한 특정 상황을 고찰하고 평가하는, 필수적이고 중요한 이성적 실천이다. (중략) 따라서 이론적 고찰은 구체적인 사역 활동과 함께 가야 한다. (중략) 그러므로 신학 교육은 우리가 헌신하고 깊이 개입한 선교적 상황을 성경에 비추어 고찰하는 과정이다. (p.465)

두 가지 추가 과목: 문화 연구와 영성 형성
복음은 언제나 특정 문화적 맥락 안에서 체현되고 표현된다. 따라서 우리가 복음에 신실하기 위해서는 어떤 문화에서나 작용하고 있는 창조적 흐름과 우상숭배적 흐름 둘 다를 이해해야 한다. 그러므로 문화 연구는 (중략)... 복음에 신실하기 위해서는 문화에 대한 깊은 이해가 있어야만 한다.(p.467-68)

영성과 도덕성의 형성 역시 중요하다. (중략) 전통적으로 신학교에서 강조해 온 지성의 형성만으로는 충분치 않다. 교회와 신학교의 단절을 해결해야 할 이유가 여기에 있다. (p.468)

이 두 가지 과목은 신학 교육에서 학생들이 문화적 통찰력과 영적 성숙을 동시에 갖추도록 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선교적 사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결론
교회의 건강, 신학의 신실함, 신학 교육의 갱신은 어느 정도, 우리의 성경 읽기에서 선교의 중심성을 회복하는 것과 연결되어 있다. (p.469)

첨부파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37건 1 페이지
ETT 3191 자료실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137 선교적성경해석학 관리자 401 07-03
136 선교적성경해석학 정한신 518 07-03
열람중 선교적성경해석학 관리자 571 07-03
134 선교적성경해석학 관리자 465 07-01
133 선교적성경해석학 관리자 640 06-26
132 선교적성경해석학 누르벡 692 06-25
131 선교적성경해석학 관리자 493 06-22
130 선교적성경해석학 상선약수 716 06-19
129 선교적성경해석학 관리자 726 06-19
128 선교적성경해석학 관리자 593 06-19
127 선교적성경해석학 관리자 677 06-17
126 선교적성경해석학 관리자 581 06-12
125 선교적성경해석학 관리자 531 06-12
124 선교적성경해석학 누르벡 606 06-11
123 선교적성경해석학 관리자 622 06-09
게시물 검색

회원로그인

최신글

연구소후원

접속자집계

오늘
1,760
어제
1,057
최대
3,984
전체
2,034,930

일상생활사역연구소
일상생활사역연구소 Institute for Everyday Life as Ministry
주소지: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샘로 15(장전동, 해인골든빌라) 402호 (46240)
협업공간 레인트리: 부산시 금정구 중앙대로 2066, 4층 (46214) 남산역과 범어사역 중간지점
☎전화 : 051-963-1391
Copyright © 1391korea.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