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교적 성경해석학 4장 - 신학적 해석과 선교적 해석학 > ETT 3191 자료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선교적 성경해석학 4장 - 신학적 해석과 선교적 해석학 > ETT 3191 자료실

선교적성경해석학 선교적 성경해석학 4장 - 신학적 해석과 선교적 해석학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 건 조회 228 회
작성일 24-06-05 13:55

본문

4장. 신학적 해석과 선교적 해석학 – 크레이그 바르톨로뮤

오늘날 성경 해석이라는 하늘 위의 두 별은 신학적 해석과 선교적 해석학이다. (p.109)

신학적 · 선교적 해석학은 사실 성경을 읽는 아주 오래된 방식이지만 양쪽 모두 최근 들어서야 부흥을 경험하고 있다. (중략) 이번 장에서 내가 바라는 것은 그 둘의 차이를 정의하고, 우리가 그 둘 모두를 필요로 하는 방식을 제안하는 것이다. (p.112)

데이비드 보쉬와 성경 해석에서 선교의 중심성
보쉬는 선교의 포괄적 차원을 회복하는 것에 대해 당연히 공감하면서도 선교나 전도를 “경계를 넘어 세상을 향해 나아가는 교회의 삶의 한 측면”과  관련된 것으로 분류하는 일을 제시한다. (p.113)

선교란 무엇인가?
선교: 모든 것을 포함하지는 않지만 분명 포괄적인 것 (p.113)

선교란 교회가 어떻게 역동적이고 기능적인 방식으로 세상과 관계하는지에 대한 질문에 답하는 전통적이고 성경적인 상징이라고 주장. (p.114)

“교회의 전체적인 본질은 선교적이지만, 교회의 모든 활동이 명시적으로 세상을 목표로 삼는 것은 아니다. 교회는 모든 환경에서 ‘선교적’이어야 하지만, 모든 순간에 ‘선교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p.115)

“교회가 외부인들을 환영할 때, 교회가 단순한 목회적 돌봄의 대상이 아닐 때, 평신도가 회중의 활동들에 참여할 때, 회중이 구조적으로 유연할 때, 교회가 한 집단의 특권을 옹호하지 않을 때 ‘교회는 선교적이다.” (p.115)

교회란 무엇인가?

“선교의 의미는 교회의 신앙과 메시지에 대한 질문의 또 다른 형태다.” (p.117)

보쉬는 교회를 모이고 세워지고 보냄받는 것으로 보았던 바르트(Barth)의 견해를 지지할 뿐 아니라, 교회와 선교의 상호 작용이 서로에게 생명을 준다고 보는 그의 견해 역시 지지한다. (p.117)

보쉬는 모이는(제도적) 초점과 흩어지는 초점 모두 갖는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교회에 대한 시각에 좀 더 다가선다. (p.118)

“따라서 교회와 세상은 ‘은혜의 농도’에서 본질적 차이가 있지만, 둘 다 은혜에 참여한다. 그러므로 교회는 구별된 공동체로 유지되어야 한다.” (p.119)

  • 보쉬의 교회론

‘선교를 수행하는 교회는 일차적으로 세계 모든 곳에 있는 지역 교회다.“ 
복음을 믿고 살아 내는 남녀들의 지역 회중이 유일한 해석자(레슬리 뉴비긴)라는 시각에 동의하며, 이는 매우 선교적인 시각. (p.119)   - 지역교회의 중요성 강조
예배하는 역동적 공동체는 선교에서 중심이 된다. (p.119)  
대안적 공동체로서의 교회를 아주 강조함 (p.119) 

 

교회를 위한 신학적 해석

신학적 해석 – 교회를 위한 기독교 경전으로서 성경 읽기를 회복하려는 노력 (p.120) 

- 신학적 해석이 포함해야 할 4가지 특징

1) 성경을 통해 하나님의 말씀을 오늘날 들을 수 있게 하는 것을 목표로 삼아 성경을 하나님의 말씀으로 제시하는 것

2) 성경을 교회를 위한 하나님의 말씀으로 제시하는 것

3) 말씀하고 계시는 하나님인 삼위일체에 해석의 토대를 두는 것

4) 성경의 거대한 이야기 안에 계시된 삼위일체 하나님의 섭리에서 나타나는 성경의 의미를 관찰하는 것

(선교적 해석학이 삼위일체에 근거한 ‘미시오 데이’의 개념을 통해 회복되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신학적 해석 역시 하나님이 회중 공동체(제도적 교회)에게 권위를 가지고 말씀하시기 위해 선택하신 바로 그 공간으로서 정경을 읽을 때 생명을 얻는다. (p.122) 

성경은 하나님의 백성에게 주어지는 하나님의 말씀이며, 따라서 성경을 낭독하고 설교하는 것을 듣기 위해, 또 성찬을 누리기 위해 공동체가 함께 모일 때 그것을 가장 잘 받을 수 있다. 

신학적 해석은 삶의 모든 것을 위해 존재하는 하나님의 말씀에 헌신한다. (p.123) 

 

신약적 해석과 선교적 해석학

신약적 해석과 선교적 해석학의 관계

구약성경의 선교 – 거의 전적으로 구심적 방식으로 이해.

오순절 이후의 선교 – 교회의 삶과 존재에 중심.

- 교회는

1) 예배, 친교의 공동체이며 주 그리스도를 삶의 모든 순간에서 섬기는 이들로 구성된 공동체

2) 부름받고 그다음 보냄받으며, 보냄받은 뒤에도 여전히 부름받은 상태

나의 결론은 선교적 해석학이 너무 오랫동안 무시되어 왔던 성경의 선교적 모티브와 차원에 주의를 기울이게 만드는 데 매우 큰 도움을 주었고, 도움을 주고 있다는 것. (p.126) 

성경 역시 전적으로 선교의 렌즈를 통해서만 읽어서 안되며 선교적 해석학을 신학적 해석학 혹은 신학적 해석의 하위 범주로 보도록 제안. (p.126) 

성경 해석에 선교적 해석학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보쉬에게) 성서학은 우리 자신의 전제를 성경 본문에 대입해서 읽는 것에서부터 우리를 보호하는 한편, 선교학은 성서학이 원래의 의미에만 집착하는 것에 저항하면서 성경이 오늘날 우리에게 의미하는 바를 향해 계속 나아가게 한다. (p.127) 

신학적 해석이 성숙해지고 그 잠재력을 청취하려면, 이러한 선교적 만남이 필수적이다. (p.132)

탄탄한 신학적 해석학은 하나님의 선교라는 음악에 그 귀를 세심하게 조율해야 할 것.

신학적 해석학이 선교적 해석학의 도움을 받아 그동안 소홀히 여겨지던 성경의 다른 주제들을 우리에게 일깨워 주리라 생각한다. (p.132)   
 : 예배에서 성경을 어떻게 읽어야 하는지 예전적 해석학 필요
 : 하나님의 생명으로 깊이 들어가 살게 하는 읽기를 가능하게 할 영성의 해석학 필요

선교학이 신학적 해석이 그 다양한 차원의 문을 열도록 돕는 것처럼, 우리는 오늘날을 위한 통합된 성경 해석학을 발전시키기 위해 협력해야 할 것이다. (p.13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2건 1 페이지
ETT 3191 자료실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12 선교적성경해석학 관리자 11 06-17
11 선교적성경해석학 관리자 70 06-12
10 선교적성경해석학 관리자 74 06-12
9 선교적성경해석학 누르벡 65 06-11
8 선교적성경해석학 관리자 86 06-09
7 선교적성경해석학 정한신 256 06-05
열람중 선교적성경해석학 관리자 229 06-05
5 선교적성경해석학 나그네 222 06-05
4 선교적성경해석학 관리자 129 06-04
3 선교적성경해석학 관리자 96 06-04
2 선교적성경해석학 관리자 209 06-04
1 Summer,Winter School 정한신 6081 01-13
게시물 검색

회원로그인

최신글

연구소후원

접속자집계

오늘
3,066
어제
3,260
최대
3,984
전체
1,816,080

일상생활사역연구소
일상생활사역연구소 Institute for Everyday Life as Ministry
주소지: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샘로 15(장전동, 해인골든빌라) 402호 (46240)
협업공간 레인트리: 부산시 금정구 중앙대로 2066, 4층 (46214) 남산역과 범어사역 중간지점
☎전화 : 051-963-1391
Copyright © 1391korea.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