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부 선교적 구약성경읽기 Thesis 모음 > ETT 3191 자료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2부 선교적 구약성경읽기 Thesis 모음 > ETT 3191 자료실

선교적성경해석학 2부 선교적 구약성경읽기 Thesis 모음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 건 조회 84 회
작성일 24-06-09 19:09

본문

지성근

2부 선교적 구약성경읽기
6장 선교적으로 구약성경 읽기 크리스토퍼 라이트 
이스라엘이 그들의 역사와 언약 관계속에서 하나님에 대해 알았던 것에 비추어 주변 세상과 관계를 맺는 과정에서 구약성경의 많은 본문이 나왔다. 165
 -성경 본문은 그 자체로 실행중인 선교의 결과물이다. 

구약성경을 포함한 정경 전체가 그 기원과(하나님의 목적 안에서) 그 형성에서(문화적 참여의 수많은 정황 안에서) 선교적이다.166
선교적 해석학은 성경 전체가 하나님의 창조 세계 전체를 향한 하나님의 목적을 위해, 하나님의 세상에 참여하는 그의 백성을 통한 하나님의 선교 이야기를 보여 준다는 가정에서 출발한다. 166
구약성경을 메시아적이고 선교적으로 읽어야 173

7장 선교적으로 신명기 읽기  마크 글랜빌
선교적으로 성경을 읽는 것은 그 본문이 어떤 공동체를 형성하려고 하는지 살펴봄으로써 시작한다.
이번 장은 공동체에 관한 내용을 다루며, 신명기에서 하나님 나라의 좋은 소식이 고대 근동의 한 작은 공동체를 열방의 유익을 위해 어떻게 변화시켰는지 다룬다. 186
신명기는 고대 세계의 고유한 상황에 좋은 소식을 전하기 위해 씨름하던, 특정한 시간과 장소에서 펼쳐진 하나님 백성의 선교에 대한 기록이다.
신명기는 그들 자신의 시간과 장소에서 주변과 대비되는 사회로 살아갈 하나님의 백성을 양육하고 형성하기 위해 쓰였으며, 따라서 선교 자원 발굴을 위해 탐색해야 할 문서 이상이다.188

8장 선교적으로 시편 87,96편 읽기   칼 보스마
선교적 시편 읽기를 뒷받침하는 신약성경의 근거(눅24:44-48; 롬15:7-22)를 제시할 것이며, 내가 제안하는 읽기에 반하는 입장을 살펴 볼 것이다
그런 뒤, 나는 선교적 시편읽기를 위한 두 가지 기본 전제를 명시할 것이다. 그리고 선교적 핵심 주제들을 도출하기 위해, 선교에 관한 두 핵심 시편인 67편과 96편을 선교적으로 읽는 것에 대해 설명 223
시편은 기독론적으로 읽을 뿐만 아니라 선교적으로도 읽어야 한다. 226
시편 읽기의 일차적 전제는 시편을 율법과 예언서의 정경적 맥락 안에서 읽어야 한다. 229
독자는 개별 시편들이 최종적 정경 형태의 시편으로 배열된 것을 존중해야 한다. 230
창세기 12:3에 비추어 읽을 때, 시편 67편의 계속되는 복을 구하는 이스라엘의 기도는 그들이 민족들에게 복의 통로가 되기 위해 선택받았다는 것을 스스로 의식하도록 배웠음을 보여준다. 236

두시편의 핵심 기조는 모든 창조 세계와 거기에 거하는 모든 것들, 그리고 열방을 다스리시는 야웨의 왕권이다. 251

 

정천호

6장 선교적으로 구약성경 읽기 - 크리스토퍼 라이트 

성경 본문은 세상에서 진정한 하나님의 백성으로 존재하는 선교라는 맥락에서 그들이 다룰 필요가 있던 어떤 사안이나 필요, 논란, 위협에 기원을 둘 때가 많다. 따라서 성경 본문은 그 자체로 실행 중인 선교의 결과물이다. P.164 

선교적 해석학은 성경 전체가 하나님의 창조 세계 전체를 향한 하나님의 목적을 위해, 하나님의 세상에 참여하는 그의 백성을 통한 하나님의 선교 이야기를 보여 준다는 가정에서 출발한다.p.166. 
 
야웨가 이스라엘을 선택하신 것은 단지 이스라엘 자신만을 위한 것이 아니었고, 세상을 위한 그의 목적과 관련이 있었다....선택받은 것은 배타적 특권이 아니라 포괄적 책임이다....이스라엘의 선교는 어디로 가는 것이 아니라 무엇이 되는 것이었다. P. 171. 

7장 선교적으로 신명기 읽기 - 마크 글랜빌 

이번 장의 목표는 신명기 자체로부터, 그리고 정경 안에서 그것이 차지하는 위치로부터 기인하는 신명기에 내재된 선교학을 조명하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우리는 은혜롭게 이스라엘을 구속하시고 그들의 왕이 되신 야웨가 이제 그들에게 주시는 헌장, 즉 구속받은 이스라엘의 노예들을 상호성과 은혜의 새로운 공동체로 형성하기 위한 헌장을 살펴보게 될 것이다. 우리는 신명기에서 이스라엘의 이야기를 구성하는 네 가지 요소를 고려할 것이다. (1) 출애굽: 야웨 공동체의 시작, (2) 잔치: 야웨 공동체의 동기, (3) 율법: 야웨 공동체의 형성, (4) 이스라엘과 미족들: 야웨 공동체의 범위 (p.187) 

신명기는 고대 세계의 고유한 상황에 좋은 소식을 전하기 위해 씨름하던, 특정한 시간과 장소에서 펼쳐진 하나님 백성의 선교에 대한 기록이다. 신명기는 그들 자신의 시간과 장소에서 주변과 대비되는 사회로 살아갈 하나님의 백성을 양육하고 형성하기 위해 쓰였으며, 따라서 선교 자원 발굴을 위해 탐색해야할 문서 이상이다. 성경 이야기 전체의 맥락 가운데 이 책은 우리의 시간과 장소에서, 만물이 그리스도 안에서 화해되는 세상을 향한 하나님의 선교이야기에 참여하라고 우리에게 요청한다.(p.188) 

8장 선교적으로 시편 67, 96편 읽기 - 칼 보스마 
 
결과적으로, 시편은 기독론적으로 읽을 뿐만 아니라 선교적으로도 읽어야 한다.(p.226) 

시편은 이스라엘 역사의 다양한 시기에 나왔으며, 그 역사 내내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구원 계획이 민족들을 포함한다는 인식을 분명하게 전달하는 종교 의식에서 시편을 사용했다.(p.227) 

시편 67편과 96편은 중요한 선교적 주제들을 드러낸다. 예를 들며, 두 시편의 핵심 기조는 모든 창조 세계와 거기에 거하는 모든 것들, 그리고 열방을 다스리시는 야웨의 왕권이다. 이러한 강조는 필연적으로 두 시편 모두에서 빛을 발하는 포용주의로 귀결된다.....두 시편 모두 분명한 선교적 음색을 내며, 이스라엘의 선교 의식을 자극하는 예전적 문서라는 인상을 준다. 이것은 예배와 선교가 하나님의 백성이 행하는 두 개의 분리된 활동이 아니라 완전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 준다. (p.251) 

 

박태선

2부 6장 선교적 구약성경 읽기
164 본문 자체가 선교에서 나오며, 선교적 사안들을 다루고 있음을 보아야 한다. 

7장 선교적으로 신명기 읽기
선교적으로 성경을 읽는 것은 그 본문이 어떤 공동체를 형성하려고 하는지 살펴봄으로써 시작한다. 그리고 신명기는 이러한 접근을 풍성한 열매로 보상해 준다.

8장 선교적으로 시편 67,96편 읽기
선교적 읽기란 민족들 앞에서 하나님의 방식으로 살아가는 하나님의 백성과 관계된 하나님의 선교를 다루는 것이다. 

 

홍은경

6장 
이스라엘이 선택받은 것은 민족들이 거부되었다는 의미가 아니었다. 오히려 그것은 명시적으로 민족들의 궁극적 유익을 위한 것이었다. 선택받은 것은 배타적 특권이 아니라 포괄적 책임이다. p.171

7장 
신명기는 출애굽의 영적•윤리적 모범을 따르는,주변과 대비되는 공동체를 형성하고자 하며,세상을 위한 하나님의 선교 이야기 안으로 들어가라고 우리를 부른다. p.219

8장
시편 67편과 96편은 중요한 선교적 주제들을 드러낸다. 예를 들면, 두 시편의 핵심 기조는 모든 창조세계와 거기에 거하는 모든 것들, 그리고 열방을 다스리시는 야웨의 왕권이다(67:4;96:10). 이러한 강조는 필연적으로 두 시편 모두에서 빛을 발하는 포용주의로 귀결된다. p.251

 

정한신

6장 선교적으로 구약성경 읽기 - 크리스토퍼 라이트 

“선교적 해석학은 성경 전체가 하나님의 창조 세계 전체를 향한 하나님의 목적을 위해, 하나님의 세상에 참여하는 그의 백성을 통한 하나님의 선교 이야기를 보여 준다는 가정에서 출발한다.” (166면)
 
7장 선교적으로 신명기 읽기 - 마크 글랜빌 

“선교적 해석학을 통해, 우리는 신명기를 하나님이 바라시는 공동체를 보여 주는 고대의 예이자, 시간과 장소를 초원하는 공동체를 위한 패러다임으로 읽는다.” (205면)

8장 선교적으로 시편 67, 96편 읽기 - 칼 보스마 
 
“시편은 기독론적으로 읽을 뿐만 아니라 선교적으로도 읽어야 한다.” (226면)

 

김종수

6장 선교적으로 구약성경 읽기 

선교적 해석학은 성경 전체가 하나님의 창조 세계 전체를 향한 하나님의 목적을 위해, 하나님의 세상에 참여하는 그의 백성을 통한 하나님의 선교 이야기에 보여 준다는 가정에서 출발한다. 166

구약성경이 야웨의 유일무이성을 확증하기 위해 언급하는 야웨의 가장 위대한 네 가지 ‘역할’을 눌랍게도 신액성경은 예수님에 대해 확증 할 때 언급한다. 이스라엘의 신앙에서 야웨만이 홀로 하늘과 땅의 창조주이시고, 역사의 통치자이시며, 모든 민족의 심판자이시고, 그에게로 돌아서는 모든 민족의 구원자시다. 동일한 우주적 진리가 신약성경에서 어려움 없이 예수님에게서 확증된다. 168 


7장 선교적 신명기 읽기 

선교는 모든 창조 세계와 화해를 이루고자 하시는 아버지의 목적에 사로잡히기 위해 그리스도에 의해 회중 공동체-그리스도의 회복적 통치의 표지, 도구, 선취로서 성령에 의해 살아가는 공동체-가 세상과 만나는 것이다. 선교적 해석학은 하나님의 선교 이야기가 고대 이스라엘에서 시작하여 성경 전체를 포괄하는 것을 인식한다.187


선교는 일차적으로 가는 것이나 어떤 것을 하는 것이 아니다. 선교는 존재하는 것이다. 또렷이 구별되는 백성으로, 민족들 사이에서 대항 문화적… 공동체로 존재하는 것이다. 200


선교는 언제나 상황화되었고, 상황화되어야 한다. 최고의 선교와 신학은 어떤 면에서 언제나 갱신되고 재발명되고 있다. 문화와 선교적으로 만나는 것은 성경에 기록된 과거의 것이든 현재 우리 자신의 공동체에서 살아 내는 것이든, 앞서 왔던 전통에 근거하는 동기에 대담하게 창의성을 발휘하는 것이고, 공동체를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과 이야기의 새로운 표현을 수용하기를 불사하는 것이다. 지혜로운 선교 지도자는 진정성 있는 선교의 표현이 아주 별나게 보이거나 교회의 전통적 구조의 주변부에서 발견될 수도 있다는 현실에 민감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성경 이야기에 뿌리내리고 있을 것이다. 214 


8장 선교적 시편 읽기 

야웨가 다스리신다는 선언은 충성 서약의 하이라이트이며, 이 시의 심장이자 중심이다. 제임스 메이스(James L. May)에 따르면, "주님이 다스리신다고 말하는 것은 다른 나라가 예배하는 신들이 다스리지 않는다고 말하는 것이다. 한 신의 왕권을 주장하는 것은 그 자체로 보편성에 대한 주장이며, 다른 신들의 통치를 주장하는 것에 대한 선제공격이었다." 248


시편 67편과 96편은 중요한 선교적 주제들을 드러낸다. 예를 들면, 두 시편의 핵심 기조는 모든 창조 세계와 거기에 거하는 모든 것들, 그리고 열방을 다스리시는 야웨의 왕권이다(67:4; 96:10). 이러한 강조는 필연적으로 두 시편 모두에서 빛을 발하는 포용주의로 귀결된다. 25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2건 1 페이지
ETT 3191 자료실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12 선교적성경해석학 관리자 11 06-17
11 선교적성경해석학 관리자 70 06-12
10 선교적성경해석학 관리자 73 06-12
9 선교적성경해석학 누르벡 64 06-11
열람중 선교적성경해석학 관리자 85 06-09
7 선교적성경해석학 정한신 256 06-05
6 선교적성경해석학 관리자 227 06-05
5 선교적성경해석학 나그네 219 06-05
4 선교적성경해석학 관리자 127 06-04
3 선교적성경해석학 관리자 96 06-04
2 선교적성경해석학 관리자 207 06-04
1 Summer,Winter School 정한신 6080 01-13
게시물 검색

회원로그인

최신글

연구소후원

접속자집계

오늘
3,061
어제
3,260
최대
3,984
전체
1,816,075

일상생활사역연구소
일상생활사역연구소 Institute for Everyday Life as Ministry
주소지: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샘로 15(장전동, 해인골든빌라) 402호 (46240)
협업공간 레인트리: 부산시 금정구 중앙대로 2066, 4층 (46214) 남산역과 범어사역 중간지점
☎전화 : 051-963-1391
Copyright © 1391korea.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