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교적 성경해석학 6장 - 선교적으로 구약성경 읽기 > ETT 3191 자료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선교적 성경해석학 6장 - 선교적으로 구약성경 읽기 > ETT 3191 자료실

선교적성경해석학 선교적 성경해석학 6장 - 선교적으로 구약성경 읽기

페이지 정보

작성자 누르벡
댓글 0 건 조회 62 회
작성일 24-06-11 11:58

본문

선교적 성경해석학 6장

 

선교적으로 구약성경 읽기

 

크리스토퍼 라이트

 

 

예언자의 어느 하루

 

바룩의 두루마리, 곧 성경의 부가 형성되는 데 나타난 네 가지 선교적 요소

1) 바룩의 두루마리는 한 이야기에서부터 나왔다.

2) 바룩의 두루마리는 상황 속에서 모습을 드러냈다.

3) 바룩의 두루마리는 구체적 목표를 염두에 두고 제작되었다.

4) 바룩의 두루마리는 희생을 통해 왔다.

 

 

본문의 선교적 기원

 

성경 본문은 세상에서 진정한 하나님의 백성으로 존재하는 선교라는 맥락에서 그들이 다룰 필요가 있던 어떤 사안이나 필요, 논란, 위협에 기원을 둘 때가 많다. 따라서 성경 본문은 그 자체로 실행 중인 선교의 결과물이다.(164)

 

마틴 골드스미스가 준 “본문의 선교적 기원”에 대한 통찰 – 선교는 그저 나중에 덧붙여진 무언가가 아니라, 본문의 기원 자체에 자리 잡고 있다는 주장.

 

본문의 선교적 기원은 신약성경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지만, 구약성경 본문의 선교적 기원에 대해서도 동하게 말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질문을 던지게 됨. - ‘선교’에 대한 이해를 ‘다른 문화권으로 선교사를 보내는 것’에 제한하지 않는다면 말이다.

 

이스라엘이 그들의 역사와 언약 관계 속에서 하나님에 대해 알았던 것에 비추어 주변 세상과 관계 맺는 과정에서 구약성경의 많은 본문이 나왔다. - 토라, 역사적 내러티브, 포로기와 포로기 이후의 본문, 지혜서와 시편 등과 같은 본문을 주변 세상과의 관계 속에서 볼 수 있다.

 

구약 성경을 포함한 정경 전체가 그 기원과 그 형성에서 선교적이라는 이 분석은 소위 상황화라는 것이 성경 본문의 ‘진짜 의미’에 우리가 덧붙이는 무언가가 아니라, 성경 본문의 내재적 성질이라는 것을 의미한다.(166)

 

선교적 해석학은 성경 전체가 하나님의 창조 세계 전체를 향한 하나님의 목적을 위해, 하나님의 세상에 참여하는 그의 백성을 통한 하나님의 선교 이야기를 보여 준다는 가정에서 출발한다.(166)

 

 

하나님의 선교적 계시

 

구약성경의 이스라엘이 가지고 있던 유신 신앙은 철학적이지 않고 선교적이다. 이스라엘은 오직 야웨만을 하나님으로 알았고, 아직 그를 알지 못하는 민족을 위해 이 지식을 선포했다. 그것은 원칙적으로, 또 잠재적으로 선교적 자세였다.(167)

 

야웨의 유무이성과 보편성에 대한 구약성경의 확증은 예수님의 유무이성과 보편성에 대한 신약성경의 확증을 위한 바탕이 되며, 이러한 진리가 창조 세계 전체에 알려지는 것이 하나님의 뜻이라면, 그 신념에는 내재적으로 선교적 의무가 존재한다. 그리고 이러한 이해는 종교 다원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 철학의 몇몇 형태의 중심에 있는 상대주의에 선교적으로 반응하는 데 든든한 기반이 된다.(168)

 

 

인류의 선교적 임무

 

인간이 된다는 것은 하나님의 창조 세계 안에서 목적이 있는 역할을 갖는다는 것이다. 그것은 우리의 기독교 신앙만큼 우리의 인간됨에 대해서 우리에게 책임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기독교 선교의 책임에 대한 우리의 이해 안에는 생태적 관심과 행동, 성경적 지구 보존을 위한 타당한 자리가 존재한다.(169)

 

 

이야기의 선교적 핵심

 

성경의 창조 기사 이후, 우리는 하나님이 타락한 인류와 그 민족들의 세상에서 어나는 문제와 도전을 다루시는 이야기를 읽는다.

창세기 12장에서 시작하는 아브라함 이야기는 이러한 인류의 타락에 대한 답을 준다. “땅의 모든 족속이 너로 말미암아 복을 얻을 것이라”(12:3). 창세기에서만 여섯 번 반복되는 이 선언은 하나님의 선교를 선언한다는 점에서 성경적 선교의 토대다. 창조주 하나님의 선교는 다름 아닌 인류의 모든 민족에게 복을 주시는 것이다.(170)

 

민족들에게 복을 주시고자 하는 하나님의 선교의 보편성을 확증하는 동한 창세기 본문은 하나님이 그 선교의 수단으로 삼기 위해 아브라함과 그의 자손을 선택하신 특수성 역시 동한 강도로 확증한다.(170) 야웨가 이스라엘을 선택하신 것은 단지 이스라엘 자신만을 위한 것이 아니었고, 세상을 위한 그의 목적과 관련이 있었다. 선택받은 것은 배타적 특권이 아니라 포괄적 책임이다. - 이런 의미에서 이스라엘의 선교적 위치는 어디로 가는 것이 아니라, 무엇이 되는 것이었다. (171)

 

눅24장 – 예수님의 구약 해석학 강의. 구약성경이라 부르는 정경 전체를 메시아적 그리고 선교적 축을 중심으로 읽어야 한다고 단언하심.
바울에게 있어서도 메시아적 구약성경 읽기선교적 구약성경 읽기로 이어졌음.(172)

 

구약성경을 메시아적이고 선교적으로 읽어야 할 필요성은 두 가지 함의를 내포함(173)

1) 성경신학에서 선택받음은 단지 구원론적이지 않으며, 근본적으로 선교적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2) 그러한 읽기는 선교학과 교회론의 밀접한 관계를 부각한다. 하나님의 백성인 교회 자체가 하나님의 선교의 창조물이자 복음의 발현이다. 따라서, ‘선교적 교회’라는 유행어는 사실 동어반복이다. 선교적이지 않으면, 그건 교회가 아니다.

 

 

구속의 선교적 차원

 

인간의 관점에서 선교는 하나님의 구속 사역에 대한 좋은 소식을 모든 민족에게 전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는 구속을 어떻게 이해하는가?

 

구약성경에서 구속의 차적 모델인 출애굽 사건에 나타나는 네 가지 선교적 차원(174-175)

1) 정치적 차원

2) 경제적 차원

3) 사회적 차원

4) 영적 차원

 

이 모든 차원을 총체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어느 한 차원만 이해하는 것은 선교학적으로 충분하지 않다.

 

 

우상숭배와의 선교적 대립

 

성경 내내, 구약성경에서는 더 특별히, 살아 계신 유한 하나님은 인간의 신(gods)과 우상에 대립한다. 이러한 대립은 선교의 심장 가까이에 있다.

 

세 가지 주요한 역사적 맥락(176-177)

1) 이집트 – 바로를 신격화했던 국가 숭배다. 여기서 결정적 대립은 권세에 관한 것이다.

2) 가나안 – 곡식, 가축, 여성의 다산을 통한 생명, 성공, 부를 기원하는 바알 숭배 의식이다. 가나안의 우상숭배는 생명을 약속했지만, 죽음을 가져왔다.

3) 바빌론 – 다시, 민족들의 운명을 주관한다고 기고만장하게 주장하는 거대한 제국의 권력이다. 안보와 사건의 통제를 기원하는 우상숭배 앞에서, 야웨만이 홀로 역사를 주관하시며, 그만이 안보를 가져다주실 수 있다.

 

성경적 선교학은 이러한 고대의 신들과 우상숭배의 현대적 등가물을 식별하고 다루는 것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 필요가 있다. 그러한 우상들은 오늘날에도 살아서 활동하고 있기 때문이다.(178)

 

 

공동체의 선교적 형성

 

이스라엘은 단지 종교적 뿐 아니라 윤리적인 방식으로 주변의 세계와 구별되도록 부름받았다.

 

구약성경 윤리에 대한 선교학적 시각

1) 창세기 18:19 – 하나님이 아브라함을 선택하신 것은 민족들에게 복을 주시겠다는 약속을 위한 것이지만, 하나님의 선교가 성취되기 위해서는 하나님의 공동체가 윤리적으로 순종해야 한다.
2) 출애굽기 19:4-6 – 이스라엘의 윤리적 구별됨은 민족들 가운데서 제사장다운 거룩한 백성으로서의 정체성이나 역할과도 연결된다.

3) 신명기 4:6-8 – 이스라엘의 윤리적 순종 혹은 실패의 문제는 단지 이스라엘과 야웨 사이의 문제만이 아니라, 민족들을 위한 야웨의 의제에 관해서도 핵심적 중요성을 갖는 문제였다.

 

신약성경뿐만 아니라 구약성경에서도, 하나님의 백성이라 주장하는 이들에게 주어지는 윤리적 요구는 그들에게 맡겨진 선교 사명에 의해 결정된다. 성경적 윤리 없이는 성경적 선교도 없다.(180)

 

 

미래에 대한 선교적 비전

 

구약성경에서 민족들에 대한 선교적 비전은 단순히 민족들이 이스라엘에 합류할 뿐만 아니라, 이스라엘과 동시되어 하나님 앞에서 동한 이름, 특권, 책임을 갖게 될 이들이 있을 것이라는 종말론적 비전까지 나아간다.

이것은 신약성경에서 이방인 선교의 신학적 설명과 동기에 가장 깊게 영향을 준다.

그리고 더 나아가 민족들뿐만 아니라 창조 세계 전체가 구원을 위한 하나님의 목적에 포함될 것이다.

 

 

결론

 

선교적으로 구약성경을 읽는 것에 참여하기로 선택한다면, 우리는 어떤 질문을 던져야 하는가?

1) 선교적 사안들이 나오는 본문의 정황과 기원에 대해 우리가 무엇을 알고 있으며, 왜 어떤 목적으로 쓰여졌으며, 그리고 그 본문이 오늘날 교회의 선교적 상황과 관련해 우리는 어떤 유사성을 제안할 수 있는가?

2) 이 본문은 성경 전체를 통해 계시된 하나님의 목적에 대한 우리의 이해에 어떻게 기여하는가?

3) 이 본문은 하나님의 선교에 대한 성경 이야기 전체에서 어느 부분에 들어가는가?

4) 이 본문은 어떤 종류의 백성을 실재라고 상정하는가?

5) 이 본문은 특별히 하나님의 심판의 실재와 이유, 하나님의 구원에 대한 소망과 그 기초에 관해 어떤 식으로든 미래를 가리키는가?

6) 누가복음 24장을 염두에 두고 이 구약성경 본문을 읽는다면, 어떤 어나는가?

7) 우리 자신의 선교 참여 혹은 세계 선교의 이슈나 문제에 대한 인식에 비추어, 우리는 어떤 질문을 이 본문에 던지고 싶은가?

8) 역으로, 그리고 아마도 더 중요하게는, 긍정과 격려 혹은 비판과 교정을 통해, 이 본문은 현재 우리가 가진 선교의 개념과 실천에 어떤 질문을 던지는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26건 1 페이지
ETT 3191 자료실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126 선교적성경해석학 관리자 11 06-17
125 선교적성경해석학 관리자 69 06-12
124 선교적성경해석학 관리자 72 06-12
열람중 선교적성경해석학 누르벡 63 06-11
122 선교적성경해석학 관리자 84 06-09
121 선교적성경해석학 정한신 254 06-05
120 선교적성경해석학 관리자 227 06-05
119 선교적성경해석학 나그네 219 06-05
118 선교적성경해석학 관리자 127 06-04
117 선교적성경해석학 관리자 96 06-04
116 선교적성경해석학 관리자 206 06-04
115 합독 관리자 2507 06-17
114 합독 관리자 1823 06-09
113 합독 관리자 1635 06-03
112 일과성령 관리자 2415 05-19
게시물 검색

회원로그인

최신글

연구소후원

접속자집계

오늘
3,058
어제
3,260
최대
3,984
전체
1,816,072

일상생활사역연구소
일상생활사역연구소 Institute for Everyday Life as Ministry
주소지: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샘로 15(장전동, 해인골든빌라) 402호 (46240)
협업공간 레인트리: 부산시 금정구 중앙대로 2066, 4층 (46214) 남산역과 범어사역 중간지점
☎전화 : 051-963-1391
Copyright © 1391korea.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