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교적 성경해석학 2장 성경 해석을 위한 해석학으로서의 선교 (리처드 보컴) > ETT 3191 자료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선교적 성경해석학 2장 성경 해석을 위한 해석학으로서의 선교 (리처드 보컴) > ETT 3191 자료실

선교적성경해석학 선교적 성경해석학 2장 성경 해석을 위한 해석학으로서의 선교 (리처드 보컴)

페이지 정보

작성자 정한신
댓글 0 건 조회 255 회
작성일 24-06-05 13:56

본문

<선교적 성경 해석학>

2장

성경 해석을 위한 해석학으로서의 선교

리처드 보컴

# “성경 해석을 위한 해석학으로서의 선교”라는 제목에 대한 독해 방식
⓵ 교회의 선교적 실천이 성경 해석의 한 형태라는 의미
- 교회의 선교가 성경 본문의 실천이며, 그 실천 안에서 그 본문이 끊임없이 해석되는 것
⓶ 선교적 성경 해석학이라는 의미
- 선교적 성경 해석학은 선교가 해석학적 열쇠가 되는 성경 읽기 방식
- “선교적 해석학은 세상 속에서 교회의 선교가 정말로 무엇을 의미하는지 성경이 묘사하는 바를 이해하고자 노력하며, 그렇기에 교회의 선교적 실천을 고무하고 안내하고자 애쓰는 성경 읽기 방식이다.” (54면)

선교적 해석학과 성서학

(1) 성경 해석학 중 선교적 해석학에 우호적인 두 가지 동향 : 정경적 해석과 네러티브 해석
1) 정경적 해석 : 성경을 하나의 정경 전체로 읽는 것
2) 네러티브 해석 : 네러티브가 본문 앞에 그 자체의 세계를 어떤 식으로 창조하는지와 그럼 으로써 우리에게 우리의 세상을 어떻게 해석하는지, 내러티브가 우리와 우리의 세상을 변화시 키는 새로운 삶의 가능성을 어떻게 여는지, 우리 자신의 삶의 내러티브와 그것에 연결된 더 큰 내러티브가 어떻게 우리의 정체성을 부여하는지 인식하는 해석

(2) 선교적 해석학은 성경 이야기의 네러티브 형식에서 두드러지는 측면인 특수한 것에서 보 편적인 것으로의 움직임에 초점을 맞추도록 제안한다.
1) 하나님의 정체성 자체가 내러티브 정체성이다. 하나님이 이스라엘과 예수님의 특정한 이야 기 안에서 스스로에게 허락하시는 특수한 정체성이며, 이 정체성 자체가 모든 창조 세계 안에 서 하나님 나라의 보편적 실현을 향해 내러티브를 끌고 간다.
2) 하나님의 백성도 특수한 것에서 보편적인 것으로의 움직임 속에서 그들의 정체성을 부여받 는데, 역동성이라는 정체성은 전통적으로 ‘선교’라는 단어로 축약되었다.

특수한 것에서 보편적인 것으로 : 시간적·공간적·사회적 측면

특수한 것에서 보편적인 것으로 나아가는 성경 네러티브의 움직임에는 시간적·공간적·사회적 측면이 있다.

(1) 시간적 측면
1) 시간적 측면에서, 선교는 새로운 미래로의 움직임이다.
2) 과거의 내러티브에서 뿐만 아니라 그러한 내러티브에 의해 장차 올 하나님 나라를 향해 변 화되어 가는 것 안에서 그 정체성을 발견하는 하나님 백성의 움직임이다.
성경 내러티브는 특정한 과거에서 보편적 미래를 향해 전환되는 과정에 있다. 예수님의 역사 에서부터 그의 재림과 모든 창조 세계에 하나님 나라의 도래를 향해 나아가는 움직임에서도 여실히 드러난다. 예수님의 삶과 죽음, 부활이 모든 창조 세계를 위한 하나님의 새로운 미래 를 열어 주며, 따라서 신약 성경이 아는 미래는 오직 예수님의 보편적 미래, 그분의 특수한 이야기 안에 투사된 미래다. 선교는 아버지가 예수님을 보내신 것과 미래에 아버지의 나라에 예수님이 다시 오실 것 사이에 일어나는 움직임이다.

(2) 공간적 측면
1) 공간적으로 선교는 새로운 지평을 향하여 나아가는 움직임이다.
2) 성경 내러티브의 공간적 혹은 지리적 움직임은 한 장소에서 모든 장소로, 중심에서 주변부 로, 예루살렘에서 땅끝으로 흘러간다. 하나님의 구원 목적을 위한 신적 움직임, 곧 자신의 백 성 가운데 세워진 성전에 거하시는 하나님의 특정한 임재에서부터 보편적 하나님 나라의 도래 를 향해 나아가는 움직임이다. 교회도 이러한 지리적 움직임 안에서 그 정체성을 발견한다.

(3) 사회적 측면
1) 사회적으로 선교는 언제나 타자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움직임이다. 그렇기에 언제까지나 새 로운 백성의 움직임이다.
2) 성경 내러티브의 움직임은 한 명에서 다수로, 아브라함에서 민족들로, 예수님에서 하늘과 땅과 땅 아래의 모든 피조물로 흘러간다.

보편적 목표 기대하기 : 교회의 선교

수많은 성경 내러티브는 특수한 것에서 보편적인 것으로 이동하는 시간적·공간적·사회적 움직 임의 예를 그린다.
1) 시간적 측면 : 스스로 자라는 씨의 비유(막 4:26-29) - 예수님의 사역으로 심긴 씨앗에서 종말 때의 추수로 나아가는 움직임
2) 공간적 측면 : 겨자씨 비유(막 4:30-33) - 가장 작은 씨앗이 자라 가장 큰 나무가 되는 것 사이의 대조를 통해 보편적 하나님 나라와 하나님의 통치가 가지는 공간적 측면 강조
3) 사회적 측면 : 시연 비유 – 고기를 잡는 7제자들이 153마리의 물고기를 잡는 이야기를 통 해 모든 민족의 사람들이 교회 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암시

이 모든 예에서 특수한 것에서 보편적인 것으로 움직이는 것은 하나님의 선물이다. 교회의 성 취가 아니다. 선교적 교회는 장차 올 그 나라에 대한 기대 속에서 하나님이 가능하게 하시는 것들을 선물로 받는 것에 대한 열정으로 살아간다.
신약성경은 선교의 보편적 목표에 대해 그것이 거의 혹은 이미 성취된 것처럼 말하지만, 동시 에 신약성경 시대 교회의 선교에 대한 이야기는 그 보편적 목표에 이르지 못한 채 멈추는 것 을 보게 된다. 신약성경은 대위임령이 생생한 사건 한가운데로 교회를 집어넣으면서 모든 세 대의 교회에게 선교적 정체성을 부여한다.

교회의 선교가 움직이는 두 방향 : 구심과 원심

일반적으로 성경에서 원심적 이미지는 개인에게, 구심적 이미지는 공동체에게 사용된다. 교회의 선교는 하나님의 메시지를 전하는 권한을 부여받고 공동체 내부에 가까운 곳과 먼 곳의 타 자들을 향해 나아가는 개인들도 필요하고, 함께하는 삶과 타자들과의 관계를 통해 그 가운데 계시는 하나님의 임재를 분명히 드러내는 공동체도 필요하다.

또 다른 선교 이미지 : 민족들 가운데서 살아가는 포로

예루살렘에 있던 기독교 운동의 물리적 중심에 대한 감각 상실을 통해 모든 곳의 그리스도인 은 민족들 가운데 살아가는 포로이자 이방인으로 표현된다. 이는 교회가 대항문화적 운동으로 서 다른 미래를 바라보면서 다른 신(God)을 위해 다른 방식으로 살아가도록 요청한다는 점에 서 선교에 있어 중요성을 갖는다. 사회적이고 문화적인 주변부야말로 선포와 긍휼함으로 타자 를 향해 나아가는 출발점이자 하나님 안에서의 중심이라는
생각이 늘 주변부에 자리하셨던 그 리스도에 대한 교회의 증언을 향상시킬 것이다.

성경 이야기와 선교가 지니는 보편성은 억압적인가?

특수한 것에서 보편적인 것으로 나아가는 성경 네러티브의 움직임은 모든 메타네러티브를 억 압적인 것으로 보는 포스트모던 비판을 불러일으킨다. 우리는 특수한 것에서 보편적인 것으로 나아가는 성경 내러티브의 움직임이 의심스러운 전체화와 본질적으로 구분되도록 해야 한다. 창조주 하나님이 어떤 분인지는 오직 그가 이스라엘이나 예수님과 함께하셨던 특정 역사에서 나타난다. 하나님의 이름은 하나님이 성경 이야기에서 자신에게 부여하시는 네러티브 정체성 을 말한다. 우상과 본질적으로 다른 하나님의 통치는 이야기를 통해 드러나야 한다. 특히 십 자가의 이야기가 중요하다. 그리스도의 십자가에서 하나님은 자신의 내러티브 정체성을 수정 할 수 없는 줄거리로 고정하신다. 모든 것을 권력 의지로 의심하는 냉소주의에 맞서 십자가의 성경적 메시지는 권력 의지가 사물의 실재가 아니며, 참되신 하나님은 모든 것과 다른 하나님 이심을 믿으라고 한다.

성경 메타내러티브의 성격에 대한 그 밖의 고찰

성경 이야기의 상대적 일관성뿐만 아니라 상대적 비일관성 또한 강조할 필요가 있다. 성경의 복합성과 다양성뿐만 아니라 성경 네러티브의 상대적 개방성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우리는 정경적 해석학과 네러티브 해석학에, 교회의 선교에 필수적인 것으로서 상황화라는 중 요한 요소를 추가해야 한다. 우리는 미래에 열려 있는 성경 네러티브가 그 자체의 특수성과 다양성을 지니는 다른 네러티브들, 다른 시간과 장소, 다른 그룹과 개인의 내러티브들, 교회의 선교를 통해 성경의 메타내러티브와 관계를 맺게 되는 내러티브들의 유입에 열려 있음을 강조 해야 한다.

논지 요약

1. 하나님 나라를 위한 해석학

성경적 메타네러티브의 보편주의는 특수한 것에서 보편적인 것으로 나아가는 세 형식의 움 직임, 곧 시간적 움직임, 지리적 움직임, 사람들의 움직임과 함께 선교적 해석학 혹은 하나님 나라를 위한 해석학의 형태를 취한다.

2. 한 사람에서 많은 사람으로

성경 내러티브에 따라 역사 속에서 하나님의 목적이 움직이는 세 가지 패턴은 동일한 형태 를 갖는다. 하나님의 목적은 특정하고 단일한 사람이나 그룹을 선택하는 것에서 보편적인 것 으로 움직여 간다. 특수한 것에서 보편적인 것으로 나아가는 네 번째 성경적 움직임은 ‘가장 작은 자를 통해 모든 이에게로’ 가는 것이다. 하나님의 선교에서 가난한 자들과 하찮은 자들 의 우선권은 모든 이를 위한 것이기도 하다.

3. 지리 – 거룩하고 상징적인

성경의 네러티브는 세상의 중심(시온)에 대한 개념과 함께 작동하며, 여기에는 그 개념이 구 심적 선교의 이미지와 원심적 선교의 이미지와 어떻게 관계를 맺는지도 포함된다. 지리적 중 심을 향해 가는 방향성은 선교를 (그곳이 어디든) 이 특정한 장소에서 (그곳이 어디든) 저 특 정한 장소로의 움직임으로 이해하는 방식을 선명하게 한다.

4. 전 지구화된 포스트모던 세계에서 진리를 증언하는 것

보편적 진리에 대한 모든 주장을 거부하는 포스트모던 비판 앞에서, 강압적이지 않은 진리 에 대한 증언이 강조될 필요가 있다. 성경 이야기의 보편주의는 특수한 것의 온전성을 지우는 것이 아니라, 보편적 하나님 나라를 향한 여정이지만 그 나라 안에서 특수한 것에 필수적 위 치를 부여한다.

(요약 정리 : 일상생활사역연구소 정한신 2024.6.5.)

첨부파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2건 1 페이지
ETT 3191 자료실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12 선교적성경해석학 관리자 11 06-17
11 선교적성경해석학 관리자 70 06-12
10 선교적성경해석학 관리자 72 06-12
9 선교적성경해석학 누르벡 63 06-11
8 선교적성경해석학 관리자 84 06-09
열람중 선교적성경해석학 정한신 256 06-05
6 선교적성경해석학 관리자 227 06-05
5 선교적성경해석학 나그네 219 06-05
4 선교적성경해석학 관리자 127 06-04
3 선교적성경해석학 관리자 96 06-04
2 선교적성경해석학 관리자 207 06-04
1 Summer,Winter School 정한신 6080 01-13
게시물 검색

회원로그인

최신글

연구소후원

접속자집계

오늘
3,060
어제
3,260
최대
3,984
전체
1,816,074

일상생활사역연구소
일상생활사역연구소 Institute for Everyday Life as Ministry
주소지: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샘로 15(장전동, 해인골든빌라) 402호 (46240)
협업공간 레인트리: 부산시 금정구 중앙대로 2066, 4층 (46214) 남산역과 범어사역 중간지점
☎전화 : 051-963-1391
Copyright © 1391korea.net All rights reserved.